본문 바로가기
정보

청년 취업자들이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이유

by 잡학박씨 2022. 4. 26.
반응형

청년들의 취업난은 늘 사회적 문제입니다. 코로나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화시켰습니다. 2021년 하반기 취준생은 무려 90만 명에 이른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취업을 못한 사람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력난을 겪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중소기업'들이 그렇습니다. 

 

중소기업의 인력난 역시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지방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한국인 취업자를 구하지 못해 외국인 근로자로 회사 절반을 채우는 회사도 부지기수죠.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비중을 생각하면 소수만이 대기업에 취업을 하고 절대다수는 중소기업에 재직해야 합니다. 그런데도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간절함이 부족한 청년세대?

 

중소기업을 경영하는 대표나 관리자라면 흔히 겪는 일들이 있습니다. 채용 공고를 올리고 이력서를 받아 연락을 합니다. 면접 당일 면접자를 기다리지만, 오지도 않고 연락도 안 되는 면접자. 식당 예약을 한 후 노쇼를 하는 사람들처럼 면접 또한 노쇼사태가 벌어집니다. 

 

그나마 면접 자체를 안 오면 다행입니다. 채용을 결정하고, 출근하기로 한 당일 안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지어 출근 후 점심시간 이전에 소위 말하는 '추노'를 하는 근로자도 있고요. 단 하루 일하고 퇴사 통보를 하는 근로자도 많습니다. 일자리가 없어 취업준비를 하는 사람이 90만 명이라는데... 이들은 간절함이 없는 걸까요?

 

 

(1) 사회적 문제입니다

누구나 돈을 많이 벌고 싶어 합니다. 그것은 능력이 많고 적고 기준이 아닙니다. 능력이 있든 없든 돈을 많이 벌고 싶어 하죠. 그리고 좋은 환경, 훌륭한 복지는 덤입니다. 

 

이런 환경을 어느 정도 충족해 줄 수 있는 곳이라면 청년들이 앞다퉈 취업을 희망할 텐데요. 결국 대기업 취업을 해야만 어느 정도 해소가 됩니다. 중소기업은 기업환경 상 근로자의 근무여건보다 회사 생존과 경영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돌아볼 여유가 부족하죠. 

 

그리고 다른 나라보다 높은 대학 진학률도 이에 한몫을 합니다. '내가 대학을 나와서 이런 데서 일한다고?'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과거에 비해 대학교 숫자도 늘었고, 그만큼 대학을 가는 사람도 늘었습니다. 사회에서 대학 졸업장은 더 이상 큰 매리트가 없습니다.

 

한 조사에서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같은 대학을 졸업한 졸업생을 비교한 조사인데요. 한 명은 90년 대 학번 졸업생, 나머지 한 명은 2010년 대 학번 졸업생입니다. 90년 대 학번은 졸업장, 3점 대 학점, 어학점수. 단 3개의 조건만으로도 대기업에 취업을 했습니다. 2010년 대 학번은 졸업장, 4점 대 학점, 각종 어학점수, 자격증, 봉사활동, 인턴경력 등 10개 가까운 스펙을 가지고도 대기업 취업에 실패했습니다. 

 

취업이 그만큼 어려워졌다는 이야기지만, 반대로 취업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저런 노력 끝에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은 안 들겠죠. 노력한 만큼 보상도 받고 싶은 것이 심리입니다. 물론 중소기업 취업 후 경력을 쌓은 후 대기업으로 이직을 노릴 수도 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2) 실업급여로 먹고살아요

그리고 최근 정부 정책도 여기에 한몫을 했습니다. 회사에서 일하다가 권고사직이나 해고로 퇴사를 할 때 실업급여를 받게 됩니다. 일정 재직기간을 채우면 최저임금 수준의 실업급여를 받죠. 이를 악용하는 청년들도 있습니다. 그 결과 취업과 퇴사를 반복하는 현상도 생겼습니다.

 

이에 지난해부터 실업급여를 반복적으로 수령할 경우 급여 삭감이나 횟수 제한을 두기도 했습니다. 취업 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운 중소기업을 이런 수단으로 이용하는 실태가 중소기업 기피현상을 만들기도 합니다. 

 

 

(3) 중소기업도 변화해야 한다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비교하면 모든 면에서 밀립니다. 하지만 최근에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으로 이직하는 청년세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들은 그토록 원하는 대기업을 그만두고 왜 작은 회사로 향할까요. 이유는 대기업에서 누리는 경제적 여유보다 자유로운 근무, 사람들과의 유대감, 자기 발전을 위함입니다. 대기업의 딱딱한 조직문화에서 누릴 수 없는 그런 부분들이죠. 그렇다고 모든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이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저런 문화와 분위기는 역시 중소기업 스스로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최근 유명해진 웹드라마가 있습니다. '좋좋소'라는 드라마인데. 국내 중소기업의 속살을 신랄하게 보여줍니다. 어떠한 장면에서는 당사자가 아닌데도 부끄럽게 느껴지는 장면들도 있죠. 중소기업 재직자들 대부분 이 드라마에 높은 공감을 보입니다. 반대로 대기업만 다녀본 사람들은 그저 웃기려고 만든 이야기 아니냐고 하기도 하고요. 

 

 

조금 과장된 부분도 있지만, 드라마 내용 대부분 현실 중소기업에서 실제 일어나는 에피소드들입니다. 대표와 대표 가족이 회사에 자유롭게 출입하고 대표 사적인 용무도 근로자의 몫이기도 하고요. 부실한 업무체계, 보고 시스템 등 우리의 중소기업의 현주소입니다. 

 

하지만 이런 문제들은 알면서 쉽게 고치고 개선하기 어렵습니다. 전체를 다 개선할 수는 없습니다. 하나씩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 복지/급여
  • 승진/자기 계발
  • 사내 문화
  • 워라밸
  • 경영장/임원 역량
  • 성장 가능성(비전)
  • CEO의 철학

 

한 번에 모두 챙길 수 없습니다. 당장 할 수 있는 부분부터 개선하고 실천해보시길 바랍니다.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이유는 '안 좋은 회사라서', '급여가 너무 적어서'... 등 이유가 많습니다.

 

대기업을 선호하는 이유는 연봉, 사회적 평판, 복지, 워라밸 등 이 대표적입니다. 당장 오고 싶은 회사를 만들기란 어렵습니다. 하나씩 노력하다 보면 어느덧 청년들이 한번 도전해보고 싶은 회사, 일하고 싶은 회사가 되어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8가지 테마가 모두 우수할 필요는 없지만, 이 중 하나라도 강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없다면, “청년들이 왜 우리 회사에
오지 않을까?”에 대한 답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청년들이 대기업을 지망하는 이유를 요약하면 딱 하나입니다. 

반응형